기획재정부가 공공기관들에게 '올해 안'에 '단기' 일자리를 '많이' 만들라는 지침을 내렸습니다.
최악의 일자리 사정에 마음이 급했던 걸까요?
나쁜 일자리일지라도 그 숫자를 늘리는 데 기획재정부가 앞장선 것이라 논란이 예상됩니다.
성시온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
[리포트]
[일자리위원회 8차 회의 (어제)]
"일자리의 양을 늘리는 데는 성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"
문재인 대통령이 고용 부진을 인정한 날, 각 공공기관에 공유된 기획재정부의 요청 자료입니다.
올 12월까지 단기 일자리를 마련해 채용해야 한다며 그 방안을 다음날까지 내라고 재촉합니다.
'긴급'이란 말까지 달아 공지했는데 복수의 공공기관 관계자들은 추석 후부터 기재부의 압박이 심해졌다고 주장했습니다.
[공공기관 관계자]
"계속 1주일 내내… (전체 비정규직 직군을) 총망라하는 단기 일자리를 늘리라는 지침이 내려와서 약간 좀 관계자 입장에서 당황스럽고 어떻게 해야 될지."
기재부가 제시한 일자리는 자료 입력이나 환경 정비 같은 단순 업무.
'연내 고용 가능'만 강조했다는 설명입니다.
[공공기관 관계자]
"회사 입장에서도 어떤 업무를 주기도 어려운 상황이고… 단기 일자리이다 보니 1~2년 활용하기에는 어렵지 않을까."
기재부는 "중장기적 일자리 대책 뿐 아니라 단기적 대응 방안도 함께 고민한 것"이라고 해명했습니다.
하지만 정부가 '단기 일자리' 꼼수로 부진한 고용 지표를 눈속임 하려 한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워 보입니다.
채널A 뉴스 성시온입니다.